📖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44,729건

대한불교천태종

대한불교천태종(大韓佛敎天台宗)은 고려시대에 크게 융성했던 천태종을 계승하는 대한민국의 불교 종단이다.

개요

천태종은 중국 수나라의 지의대사(智顗大師, 538-597)에 의해 창종된 종파로, 법화경을 근본 경전으로 삼아 모든 법문이 불성을 드러내는 방편이라고 주장하며, 삼관(三觀)과 삼지(三止)를 통해 수행한다. 고려 시대에 의천(義天, 1055-1101)에 의해 국청사를 중심으로 크게 발전하였으나, 조선 시대의 억불정책으로 쇠퇴하였다.

근대에 이르러 묘음존자(妙音尊者, 박준동)에 의해 중창되었으며, 현재 총본산은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백자리에 위치한 구인사(救仁寺)이다.

교리

대한불교천태종의 교리는 천태사상의 핵심인 법화사상을 근본으로 한다. 모든 존재의 본성이 공(空)이며, 동시에 가(假)이며, 중(中)이라는 삼제원융(三諦圓融)의 이론을 통해 중도실상(中道實相)을 깨닫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법화경: 천태종의 근본 경전으로, 모든 중생이 부처가 될 수 있다는 평등사상을 강조한다.
  • 삼관삼지: 천태종의 대표적인 수행법으로, 공관(空觀), 가관(假觀), 중관(中觀)의 삼관과, 체지(體止), 방지(方便止), 원성지(圓成止)의 삼지를 통해 번뇌를 끊고 지혜를 얻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원융사상: 모든 존재와 현상이 서로 연관되어 있고 조화롭게 융합되어 있다는 사상이다.

역사

  • 고려 시대: 의천에 의해 천태종이 도입되어 국청사를 중심으로 크게 융성하였다.
  • 조선 시대: 억불정책으로 인해 천태종은 쇠퇴하였다.
  • 근대: 묘음존자에 의해 천태종이 중창되었으며, 구인사를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하였다.

조직

대한불교천태종은 종정을 중심으로 종무행정을 총괄하는 종무원과 승려의 교육기관인 금강불교대학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국에 수많은 사찰과 포교당을 운영하고 있으며, 불교 교육 및 사회복지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주요 사찰

  • 구인사 (총본산)
  • 삼룡사
  • 해동사
  • 낙산사

관련 인물

  • 지의대사
  • 의천
  • 묘음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