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Database)는 체계적으로 구성된 데이터의 집합으로, 효율적인 관리 및 검색을 위해 특정한 구조를 가지고 저장된다.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되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NoSQL 데이터베이스 등 여러 유형이 존재한다.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하고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며,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접근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은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관리, 그리고 접근하는 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이다.
특징
- 구조화: 데이터는 테이블, 컬럼, 레코드 등의 구조적인 요소로 구성되어 체계적으로 정리된다. 이는 데이터의 효율적인 저장과 검색을 가능하게 한다.
- 데이터 중복 최소화: 데이터 중복을 최소화하여 저장 공간을 절약하고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한다. 동일한 정보가 여러 곳에 저장되어 있지 않도록 설계된다.
- 데이터 무결성 유지: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제약 조건(constraints)을 설정하여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한다. 잘못된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한다.
- 데이터 공유: 여러 사용자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동시에 데이터에 접근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동시 접근 제어를 통해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한다.
- 데이터 검색 및 관리: 효율적인 데이터 검색 및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데이터를 빠르고 정확하게 검색하고, 수정, 삭제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종류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 테이블과 관계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SQL (Structured Query Language)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조작한다. 예로는 MySQL, PostgreSQL, Oracle Database 등이 있다.
- NoSQL 데이터베이스(NoSQL Databas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데이터베이스로, 비관계형 데이터 모델을 사용한다.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적합하며, 다양한 데이터 모델(키-값, 문서, 그래프, 컬럼 패밀리)을 지원한다. 예로는 MongoDB, Cassandra, Redis 등이 있다.
구성 요소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관리, 그리고 접근하는 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이다.
- 데이터베이스 스키마(Schema):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는 설계이다. 테이블, 컬럼, 데이터 타입 등을 포함한다.
- 데이터(Data):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실제 정보이다.
- 쿼리(Query):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검색하거나 조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질의어이다. SQL은 대표적인 쿼리 언어이다.
용도
데이터베이스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웹사이트, 모바일 앱, 금융 시스템, 의료 정보 시스템, 기업 자원 관리(ERP) 시스템 등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