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7,549건

기미독립선언서

기미독립선언서는 1919년 3월 1일,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발표된 독립선언서이다. 3·1 운동의 기폭제가 된 핵심 문서로서, 민족자결주의에 입각하여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그 정당성을 세계에 알리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배경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전승국들의 주도하에 민족자결주의가 대두하면서, 조선의 지식인과 종교계 인사들은 이를 독립운동의 기회로 삼고자 하였다. 이에 천도교, 기독교, 불교 등 각 종교계와 학생들을 중심으로 독립선언서 작성 및 발표 계획이 추진되었다.

작성 및 발표

최남선이 초안을 작성했으며, 오세창, 최린, 정춘수 등이 수정 및 보완에 참여하였다. 최종적으로 손병희 등 민족대표 33인의 명의로 발표되었으며, 3월 1일 탑골공원에서 학생들을 중심으로 낭독되었다. 전국 각지에서 만세 시위가 일어나 3·1 운동으로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주요 내용

  • 민족자결주의에 입각한 한국의 독립 선언
  •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 행위 규탄 및 독립의 정당성 주장
  • 평화적인 방법으로 독립을 쟁취할 것을 강조
  • 새로운 국가 건설의 이상 제시
  • 전 세계에 한국 독립의 지지를 호소

영향

기미독립선언서는 3·1 운동을 촉발시켜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의 기반이 되었으며, 이후 독립운동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수행하였다. 선언서의 정신은 현재까지도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같이 보기

  • 3·1 운동
  • 민족대표 33인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민족자결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