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년
기년 (紀年)은 특정한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연도를 세는 방법을 말한다. 역사적 사건, 군주의 즉위, 종교적 사건 등 다양한 기준점을 삼을 수 있다.
기년법은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연도를 계산함으로써 역사적 사건의 시간적 위치를 파악하고, 연대기를 구성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또한, 서로 다른 문화권의 역사를 비교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주요 기년법
- 단기 (檀紀): 고조선의 건국을 원년으로 삼는 기년법.
- 서기 (西紀):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원년으로 삼는 기년법.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된다.
- 불기 (佛紀): 석가모니의 입멸 (열반)을 원년으로 삼는 기년법.
- 간지 (干支): 십간 (十干)과 십이지 (十二支)를 조합하여 60년을 주기로 순환하는 기년법. 주로 동아시아에서 사용된다.
- 연호 (年號): 군주가 즉위하거나 특별한 사건을 기념하여 정하는 고유한 칭호를 사용하여 연도를 표기하는 방법. 주로 동아시아의 군주 국가에서 사용되었다.
- 이슬람력 (히즈라력): 이슬람교의 창시자 무함마드가 메카에서 메디나로 이주한 해 (히즈라)를 원년으로 삼는 기년법.
기년법은 단순한 연도 계산 방법을 넘어, 특정 문화권의 역사관과 가치관을 반영하는 중요한 문화적 요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