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로맨틱 스펙트럼
무로맨틱 스펙트럼 (Aromantic Spectrum)은 개인이 타인에게 로맨틱한 끌림(romantic attraction)을 경험하는 방식과 정도에 대한 다양성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이는 로맨틱한 끌림을 거의 또는 전혀 느끼지 않는 상태인 '무로맨틱(aromantic)'부터, 일반적으로 로맨틱한 끌림을 느끼는 상태인 '전로맨틱(alloromantic)'까지의 연속적인 범위를 포괄한다.
'스펙트럼'이라는 용어는 로맨틱 끌림이 단순히 있거나 없는 이분법적인 것이 아니라, 강도, 빈도, 상황 등 다양한 측면에서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무로맨틱 스펙트럼은 성적 지향(sexual orientation)과는 구별되는 로맨틱 지향(romantic orientation)의 한 형태로 이해된다. 즉, 어떤 사람이 특정 성별에게 성적 끌림을 느끼면서도(예: 이성애자), 동시에 로맨틱한 끌림은 거의 느끼지 않거나 특정 조건에서만 느끼는 것(예: 무로맨틱)이 가능하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분리 매력 모델(Split Attraction Model)'이 사용되기도 한다.
무로맨틱 스펙트럼 내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체성이 포함될 수 있다.
- 무로맨틱 (Aromantic): 타인에게 로맨틱한 끌림을 거의 또는 전혀 느끼지 않는 사람을 일컫는 포괄적인 용어이자 스펙트럼의 한 극점이다.
- 그레이로맨틱 (Gray-romantic/Gray-A): 로맨틱 끌림을 드물게 느끼거나, 약하게 느끼거나, 특정 상황에서만 느끼는 등 무로맨틱과 전로맨틱의 중간 지점에 해당하는 사람.
- 데미로맨틱 (Demiromantic): 상대방과 깊은 감정적 유대감을 형성한 후에만 로맨틱 끌림을 느낄 수 있는 사람.
- 이 외에도 스펙트럼 내에는 다양한 하위 정체성들이 존재한다.
무로맨틱 스펙트럼에 속하는 사람이 반드시 감정이나 애정을 느끼지 못하거나 관계를 맺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가족, 친구, 퀴어플라토닉 관계(queerplatonic relationship, 로맨틱하지 않지만 깊은 유대감을 공유하는 관계) 등 다양한 형태의 관계에서 깊은 유대감과 사랑을 형성할 수 있으며, 단지 로맨틱한 형태의 끌림이나 관계에 대한 욕구가 없거나 약할 뿐이다.
무로맨틱 스펙트럼은 성적 지향 스펙트럼(Asexual Spectrum)과 유사하게 로맨틱 끌림의 경험을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으로, 다양한 로맨틱 지향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데 기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