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200건

주자

주자 (朱子), 본명은 주희(朱熹, 1130년 10월 18일 ~ 1200년 4월 23일)는 중국 남송 시대의 유학자, 교육자, 정치가이다. 유학의 새로운 해석을 통해 성리학을 집대성하여 후대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자는 원회(元晦), 중회(仲晦)이며 호는 회암(晦庵), 매헌(梅軒), 운곡(雲谷), 창주병수(滄洲病叟) 등이다. 시호는 문공(文公)이다.

생애

주희는 복건성 유계현(尤溪縣)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주송(朱松)으로, 당시 휘종의 실정으로 국력이 쇠퇴하자 북송의 멸망을 예견하고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주희를 가르쳤다. 주희는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아버지로부터 유학의 기본을 배우고, 이통(李侗) 등에게 사사받으며 학문적 기반을 다졌다.

24세에 진사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으나, 당시 조정의 부패와 혼란에 실망하여 여러 차례 사직하고 학문 연구와 교육에 전념했다. 그는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을 비롯한 여러 서원을 설립하여 인재 양성에 힘썼으며, 자신의 학문적 사상을 널리 전파했다.

사상

주희는 유학의 경전들을 깊이 연구하여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리학이라는 독자적인 학문 체계를 구축했다. 그는 우주의 근본 원리인 ‘리(理)’와 현실 세계의 개별적인 존재인 ‘기(氣)’의 개념을 통해 만물의 생성 원리를 설명하고, 인간의 본성을 수양하여 도덕적 이상을 실현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주희의 사상은 ‘사서집주(四書集注)’를 통해 집대성되었으며, 이는 과거 시험의 교재로 채택되면서 조선을 비롯한 동아시아 각국에 큰 영향을 미쳤다.

평가와 영향

주희는 유학 사상사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의 성리학은 이후 동아시아 사회의 지배적인 이념으로 자리 잡았으며, 정치,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조선 시대에는 성리학이 국가의 통치 이념으로 채택되어 사회 전반에 걸쳐 깊숙이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그의 사상이 지나치게 형식적이고 경직되어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