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8,193건

석실묘

석실묘는 널방(현실)을 깬돌이나 판돌 등으로 짜고 그 위에 흙을 덮어 봉분을 만든 무덤 양식이다. 돌방무덤 또는 돌곽무덤이라고도 불린다. 주로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에 걸쳐 유행했으며, 특히 고구려와 백제에서 많이 축조되었다.

특징

  • 구조: 석실묘는 일반적으로 네 벽을 돌로 쌓아 만든 방인 널방과, 널방으로 통하는 널길(연도)로 구성된다. 널방은 사각형,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띠며, 널길은 널방의 한쪽 벽면에 연결되어 무덤 입구 역할을 한다.
  • 축조 방식: 석실묘는 지하 또는 지상에 널방을 만들고, 그 위에 흙이나 돌을 쌓아 봉분을 조성한다. 널방 내부에는 관을 안치하고, 부장품을 함께 매장한다.
  • 벽화: 일부 석실묘에는 널방 벽면에 벽화가 그려져 있다. 고구려 석실묘의 벽화는 주로 고인의 생전 모습, 사신도, 생활 풍속 등을 묘사하고 있으며, 백제 석실묘의 벽화는 연꽃무늬, 인물상, 풍경화 등이 나타난다.
  • 분포: 석실묘는 한반도 전역에 분포하지만, 특히 고구려의 영역이었던 만주 지역과 한반도 북부, 백제의 영역이었던 한반도 서남부 지역에서 많이 발견된다.

역사적 의미

석실묘는 당시 사회의 장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석실묘의 구조, 축조 방식, 벽화 등을 통해 당시 사람들의 사후 세계관, 예술, 기술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석실묘에서 출토되는 유물은 당시 사회의 경제, 사회, 문화 등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