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국문학은 한국어로 쓰인 문학 작품 및 한국 문화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좁은 의미로는 한국어로 창작된 시, 소설, 희곡, 수필 등의 문학 작품을 대상으로 하며, 넓은 의미로는 고전 문학부터 현대 문학에 이르기까지 한국 문학의 역사, 이론, 비평, 교육 등을 포괄한다.
개요
국문학은 한국인의 사상, 감정, 생활 방식 등을 반영하는 문학 작품을 통해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탐구하고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한국어의 아름다움과 표현력을 분석하고, 문학 작품의 창작 및 감상 능력을 함양하는 데 기여한다.
연구 분야
국문학의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나눌 수 있다.
- 고전문학: 고대 가요, 향가, 고려 가요, 경기체가, 시조, 가사, 고전 소설, 판소리, 민요 등 고전 시대의 문학 작품을 연구한다. 작품의 내용, 형식, 배경 사상 등을 분석하고, 시대적 맥락 속에서 문학사적 의미를 파악한다.
- 현대문학: 개화기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창작된 시, 소설, 희곡, 수필 등을 연구한다. 작품의 주제, 인물, 구성, 문체 등을 분석하고, 사회 문화적 배경과의 관련성을 탐구한다.
- 문학 이론: 문학 작품의 본질과 기능, 문학 비평의 방법론 등을 연구한다. 다양한 문학 이론을 적용하여 작품을 해석하고 평가하며, 문학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한다.
- 국어학: 한국어의 역사, 구조, 의미 등을 연구한다. 문법, 음운, 어휘 등의 체계를 분석하고, 한국어의 변화 과정과 특징을 밝힌다.
- 비교문학: 한국 문학과 다른 나라 문학과의 관계를 연구한다. 문학적 교류, 영향 관계, 공통점과 차이점 등을 분석하여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이해한다.
- 구비문학: 문자 기록이 아닌 입에서 입으로 전승되는 설화, 민담, 전설, 무가, 속담 등을 연구한다. 구비문학의 내용, 형식, 기능 등을 분석하고, 민중의 삶과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관련 학문
국문학은 다음과 같은 학문 분야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 역사학: 문학 작품의 시대적 배경과 사회 문화적 맥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 철학: 문학 작품에 담긴 인간과 세계에 대한 사상과 가치관을 탐구하는 데 기여한다.
- 언어학: 한국어의 구조와 변화를 이해하고, 문학 작품의 언어적 특징을 분석하는 데 필요한 지식을 제공한다.
- 민속학: 민중의 삶과 문화, 구비문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준다.
- 교육학: 국어 교육의 목표와 방법, 문학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연구하는 데 기여한다.
참고 문헌
- 한국문학통사 (조동일)
- 한국문학사 (김현)
- 한국문학개론 (정호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