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4,392건

국민학교

국민학교는 1941년부터 1996년까지 사용된 대한민국의 초등 교육기관 명칭이다.

개요

국민학교는 일제강점기 말기인 1941년, 일본 제국의 교육 제도를 따라 기존의 ‘소학교’를 개칭하면서 처음 사용되었다. 당시 ‘황국신민’을 양성한다는 목적 아래 국민학교라는 명칭이 채택되었다. 해방 이후에도 대한민국 정부는 국민학교라는 명칭을 그대로 유지하며 초등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운영하였다.

변천사

  • 일제강점기 (1941년): 소학교에서 국민학교로 명칭 변경. 황국신민 양성이 목표.
  •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초등 교육기관으로 존속. 교육 과정 및 내용의 변화.
  • 1996년: 초등학교로 명칭 변경. 교육 개혁의 일환으로 추진됨.

명칭 변경 배경

1995년 12월 6일, 교육법 개정을 통해 국민학교는 초등학교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는 일제강점기의 잔재를 청산하고, 교육 본질에 더욱 충실하며, 세계화 시대에 발맞춰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교육 개혁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새로운 명칭인 ‘초등학교’는 초등 교육의 단계적 특성을 명확히 드러내고, 긍정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이미지를 담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참고 문헌

  • 대한민국 교육사 관련 자료
  • 관련 법령 및 교육 정책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