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업용수
공업용수란 공업 생산 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을 총칭한다. 이는 제품 생산, 설비 냉각, 세척, 원료 용해, 폐수 희석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공업 활동의 필수적인 요소이다.
개요
공업용수는 농업용수, 생활용수와 함께 물 사용의 주요 분야를 구성한다. 공업의 발달과 함께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수질 오염 문제와 더불어 효율적인 관리 및 재활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공업용수는 사용 목적에 따라 요구되는 수질 기준이 다르며, 일부 산업에서는 고도의 정수 처리 과정을 거친 초순수가 사용되기도 한다.
공급원
공업용수의 주요 공급원은 다음과 같다.
- 하천수: 하천에서 취수하여 정수 처리 후 사용한다.
- 호소수: 댐, 저수지 등의 호소에서 취수하여 사용한다.
- 지하수: 지하수를 직접 취수하거나, 하천 복류수를 취수하여 사용한다.
- 해수: 담수화 시설을 통해 해수를 담수로 전환하여 사용한다.
- 재활용수: 공업 생산 과정에서 사용된 물을 정화하여 재사용한다.
수질 기준
공업용수의 수질 기준은 사용 목적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부유 물질, 용존 산소량, pH, 전기 전도도, 특정 유해 물질 농도 등이 규제된다. 특히 반도체 산업과 같이 고도의 청정도를 요구하는 산업에서는 초순수 제조 설비를 갖추고 엄격한 수질 관리를 시행한다.
환경 문제
공업용수 사용 후 배출되는 폐수는 수질 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폐수 처리 시설을 통해 오염 물질을 제거하고, 가능한 한 재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에는 환경 규제 강화와 더불어 폐수 무방류 시스템 도입, 친환경 공정 개발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미래 전망
물 부족 문제 심화와 환경 규제 강화 추세에 따라 공업용수의 효율적인 관리 및 재활용 기술 개발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스마트 팩토리 구축과 연계하여 공업용수 사용량 최적화, 실시간 수질 모니터링, AI 기반 폐수 처리 등의 기술이 적극적으로 도입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해수 담수화 기술 발전과 더불어 해수를 공업용수로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