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296건

개방형 무선접속망

개방형 무선 접속망(Open RAN 또는 O-RAN)은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을 구성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요소를 분리하고,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공급업체의 제품을 상호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및 아키텍처를 의미한다. 기존의 폐쇄적인 무선 접속망(Radio Access Network, RAN) 환경에서는 특정 통신 장비 제조업체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긴밀하게 통합되어 다른 제조사의 제품과의 호환성이 제한적이었다. 반면, Open RAN은 이러한 폐쇄성을 극복하고, 더 유연하고 혁신적인 네트워크 구축을 가능하게 한다.

주요 특징

  • 개방형 인터페이스: Open RAN은 기지국의 주요 구성 요소인 무선 장치(RU), 분산 장치(DU), 중앙 장치(CU) 간의 인터페이스를 표준화하여 다양한 제조사의 장비가 상호 운용될 수 있도록 한다. O-RAN 얼라이언스 등의 단체가 표준 인터페이스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 가상화 및 클라우드화: 기지국의 기능들을 가상화된 형태로 구현하고, 클라우드 기반의 플랫폼에서 운영함으로써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의 유연성과 효율성을 높인다.

  • 지능화: 인공지능(AI) 및 머신러닝(ML) 기술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성능을 최적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 다양한 공급업체 참여: 개방형 구조를 통해 다양한 공급업체가 RAN 시장에 참여할 수 있도록 장려하여 경쟁을 촉진하고, 혁신적인 기술 개발을 유도한다.

기대 효과

  • 비용 절감: 다양한 공급업체의 경쟁을 통해 장비 구매 비용을 절감하고, 가상화 및 클라우드화를 통해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네트워크 유연성 향상: 네트워크 트래픽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자원을 할당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신속하게 도입할 수 있다.

  • 혁신 촉진: 다양한 공급업체의 참여를 통해 기술 혁신을 촉진하고, 새로운 서비스 모델을 개발할 수 있다.

  • 보안 강화: 분산된 아키텍처와 강화된 보안 프로토콜을 통해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과제

  • 상호 운용성 확보: 다양한 제조사의 장비 간 상호 운용성을 완벽하게 확보하는 것이 기술적인 과제이다.

  • 보안 문제: 개방형 구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을 해결해야 한다.

  • 성능 문제: 가상화된 환경에서의 성능 저하를 최소화해야 한다.

Open RAN 얼라이언스

Open RAN의 표준화를 주도하는 주요 단체 중 하나로, 전 세계의 통신 사업자, 장비 제조사, 소프트웨어 개발사 등이 참여하고 있다. O-RAN 얼라이언스는 Open RAN 기술의 표준 규격을 정의하고, 상호 운용성 테스트를 수행하며, Open RAN 생태계 확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