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6,877건

소련 외무부

소련 외무부 (러시아어: Министерство иностранных дел СССР, 약칭 МИД СССР)는 1923년부터 1991년 소련 붕괴까지 소련의 외교 정책을 담당했던 중앙 행정 기관이다. 초창기에는 인민외무위원회(Народный комиссариат по иностранным делам, 약칭 НКИД)로 불렸으며, 1946년 외무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역사

1923년 소련 창설과 함께 인민외무위원회(NKID)가 설립되었으며, 초대 인민위원은 게오르기 치체린이었다. NKID는 주로 서방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 및 공산주의 이념 확산을 목표로 활동했다. 1946년, NKID는 외무부로 개편되었고, 안드레이 비신스키가 외무장관으로 임명되었다. 냉전 시대 동안 소련 외무부는 미국 국무부와 함께 세계 외교의 양대 축을 이루었으며, 동구권 국가들과의 관계 강화, 공산주의 국가 지원, 군축 협상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했다.

조직 및 기능

외무부는 외무장관을 수장으로 하여 다양한 부서와 지역 담당 부서로 구성되었다. 주요 부서로는 미국 담당 부서, 유럽 담당 부서, 아시아 담당 부서, 국제기구 담당 부서 등이 있었다. 외무부는 소련의 외교 정책 수립, 대외 협상, 해외 공관 운영, 국제 정보 수집 등의 기능을 수행했다.

주요 인물

  • 게오르기 치체린: 초대 인민외무위원 (1923-1930)
  • 막심 리트비노프: 인민외무위원 (1930-1939)
  •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인민외무위원 (1939-1949, 1953-1956)
  • 안드레이 비신스키: 외무장관 (1949-1953)
  • 안드레이 그로미코: 외무장관 (1957-1985)
  •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 외무장관 (1985-1990)
  • 알렉산드르 베스메르트니흐: 외무장관 (1991)

소련 붕괴 이후

1991년 소련 붕괴와 함께 소련 외무부는 해체되었고, 그 기능은 러시아 외무부로 계승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