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4,039건

판상절리

판상절리는 화산암, 특히 현무암에서 나타나는 기둥 모양의 절리(柱狀節理, columnar joint)의 일종으로, 수직 방향으로 발달하는 것이 일반적인 기둥 모양 절리와 달리, 지표면과 평행하게 판(板) 모양으로 얇게 갈라지는 절리이다.

개요

판상절리는 용암이 냉각될 때 수축력에 의해 형성되는 절리 현상이다. 용암이 빠르게 식으면서 굳어질 때, 표면에서부터 안쪽으로 냉각 수축이 일어나고, 이 과정에서 암석 내부에 균열이 발생한다. 일반적인 기둥 모양 절리는 냉각 중심점이 여러 곳에 존재하며, 이 냉각 중심점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균열이 발달하여 기둥 모양을 이루지만, 판상절리는 특정 조건 하에서 냉각 속도가 느리거나 압력 변화 등의 영향으로 층층이 얇은 판상 형태로 균열이 발달하게 된다.

형성 과정

판상절리의 정확한 형성 메커니즘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냉각 속도: 용암이 상대적으로 느리게 냉각될 경우, 응력이 특정 방향으로 집중되지 않고 넓게 분산되어 판상 형태로 균열이 발달하기 용이하다.
  • 압력 변화: 용암이 굳은 후 지각 운동이나 침식 작용 등으로 인해 암석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하면, 팽창하면서 판상 형태로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 암석의 성분: 현무암의 화학적 조성 및 광물 구성 또한 판상절리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수분 함량: 굳어지는 과정에서 암석 내 수분 함량 변화도 절리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특징

  • 얇은 판 모양으로 층층이 갈라지는 형태를 보인다.
  • 주로 현무암에서 발견되지만, 다른 종류의 화산암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 수평 방향으로 발달하는 것이 특징이지만, 경사진 형태를 띠는 경우도 있다.
  • 특정 지역에서만 제한적으로 발견되며, 지질학적 가치가 높다.

관련 용어

  • 절리(節理, joint): 암석에 발달한 불연속면의 일종으로, 눈에 띄는 변위 없이 암석이 갈라진 틈.
  • 기둥 모양 절리(柱狀節理, columnar joint): 수직 방향으로 발달하는 기둥 모양의 절리.

참고 자료

  • 지질학 관련 서적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각 지역의 지질공원 안내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