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쓰레기는 더 이상 사용 가치가 없거나 필요하지 않아 버려지는 물질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이는 인간의 활동 결과 발생하며, 가정, 산업,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한다. 폐기물 관리법에서는 폐기물을 보다 포괄적인 개념으로 정의하며, 쓰레기를 포함하여 재활용 가능한 물질, 오니, 폐유, 폐산, 폐알칼리, 동물의 사체 등 사람의 생활이나 사업활동에 필요 없게 된 물질을 의미한다.
종류
쓰레기는 그 성상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일반적인 분류는 다음과 같다.
- 생활 쓰레기: 가정이나 소규모 상업 시설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로, 음식물 쓰레기, 종이류, 플라스틱류, 유리병, 금속류 등이 포함된다.
- 사업장 쓰레기: 사업 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로, 건설 폐기물, 산업 폐기물 등이 있다. 산업 폐기물은 다시 지정 폐기물과 일반 폐기물로 나뉜다.
- 음식물 쓰레기: 음식물 또는 음식물과 관련된 쓰레기로, 음식물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과 먹고 남은 음식물 등이 있다.
- 재활용 가능 쓰레기: 분리수거를 통해 재활용할 수 있는 쓰레기로, 종이류, 플라스틱류, 유리병, 금속류, 비닐류 등이 해당된다.
처리 방법
쓰레기 처리 방법은 발생량 감소(Reduce), 재사용(Reuse), 재활용(Recycle)의 3R 원칙을 기본으로 한다. 주요 처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
- 매립: 쓰레기를 땅에 묻어 처리하는 방법으로, 위생 매립, 준호기성 매립, 혐기성 매립 등이 있다. 토지 사용량이 많고, 침출수 발생으로 인한 환경 오염 우려가 있다.
- 소각: 쓰레기를 고온에서 태워 처리하는 방법으로, 부피를 줄이고 에너지 회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대기 오염 물질 발생 우려가 있다.
- 재활용: 쓰레기를 새로운 제품의 원료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자원 낭비를 줄이고 환경 보호에 기여한다.
- 퇴비화: 음식물 쓰레기 등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하여 퇴비로 만드는 방법이다.
환경 문제
쓰레기 문제는 심각한 환경 문제를 야기한다. 매립지 부족, 토양 및 수질 오염, 대기 오염, 악취 발생, 해양 오염 등 다양한 문제를 유발하며, 생태계 파괴와 인간의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해결 방안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발생량 감소, 분리수거 철저, 재활용률 향상, 친환경적인 처리 기술 개발 등이 필요하다. 또한, 정부, 기업, 시민 모두가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개인 차원에서는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분리수거 생활화 등을 실천할 수 있다.
관련 법규
- 폐기물관리법
- 자원순환법
-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억제 및 처리 촉진에 관한 법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