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창자
작은창자 (小腸, small intestine)는 위에서 내려온 음식물을 소화하고 영양분을 흡수하는 소화기관으로, 위와 큰창자 사이에 위치한다. 십이지장, 공장, 회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길이 약 6~7m에 달하는 긴 관 형태이다.
기능:
- 소화: 위에서 부분적으로 소화된 음식물에 췌액, 담즙, 장액 등의 소화액이 작용하여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의 영양소를 더욱 잘게 분해한다.
- 흡수: 분해된 영양소는 작은창자 내벽에 있는 융털과 미세융털을 통해 혈액이나 림프액으로 흡수된다. 작은창자는 넓은 표면적을 가지고 있어 효율적인 영양소 흡수를 가능하게 한다.
- 호르몬 분비: 소화 과정에 관여하는 다양한 호르몬을 분비하여 위, 췌장 등의 소화기관 활동을 조절한다.
- 면역: 장 점막에는 많은 면역 세포가 존재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해 물질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구조:
- 십이지장 (十二指腸, duodenum): 위의 유문에서 시작하여 약 25cm 길이의 C자 모양을 이루는 작은창자의 첫 부분이다. 췌장액과 담즙이 분비되는 곳이다.
- 공장 (空腸, jejunum): 십이지장 다음으로 이어지는 작은창자의 중간 부분으로, 영양소 흡수가 가장 활발하게 일어난다.
- 회장 (回腸, ileum): 작은창자의 마지막 부분으로, 대장과 연결되어 있으며, 주로 비타민 B12와 담즙산의 재흡수가 일어난다.
질병:
작은창자에 발생하는 질병으로는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흡수 장애 증후군, 장폐색, 장염 등이 있다.
참고 문헌:
- 인체 생리학 (Human Physiology)
- 소화기학 (Gastroenter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