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930건

호도경난

호도경난은 (糊塗經難)은 어렵고 힘든 상황을 얼렁뚱땅 넘어가거나, 분명하게 해결하지 않고 어물쩍 넘어가는 태도를 비판적으로 이르는 고사성어이다.

어원 및 유래

호도경난은 본래 불교 용어에서 유래했다. 불교 경전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대충 얼버무려 넘어가는 행태를 꼬집는 말이었다. 여기서 '호도(糊塗)'는 풀칠을 해서 흐리게 만든다는 뜻으로, 진실을 가리고 속임수를 쓰는 것을 비유한다. '경난(經難)'은 경전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미이다.

의미

이 고사성어는 단순히 지식이나 기술 부족으로 인한 실수를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 책임을 회피하거나 문제를 덮으려는 의도적인 행동을 비판하는 데 사용된다. 즉, 무능력함에 더해 무책임한 태도까지 내포하고 있는 표현이다.

용례

  • "그는 사건의 진상을 밝히기보다는 호도경난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 "이번 사태에 대한 그의 답변은 호도경난으로 일관되어 국민들의 분노를 샀다."
  • "정치인들은 종종 자신들의 과오를 호도경난하는 데 능숙하다."

유사한 표현

  • 아전인수 (我田引水)
  • 견강부회 (牽強附會)
  • 엄이도종 (掩耳盜鐘)

같이 보기

  • 무사안일 (無事安逸)
  • 책임 회피 (責任回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