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드의 법칙
리드의 법칙(Reed's Law)은 네트워크 효과의 한 종류로, 네트워크의 가치는 참여자 수의 2의 거듭제곱으로 증가한다는 이론이다. 즉, 네트워크의 규모가 커질수록 네트워크의 잠재적 가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는 1999년 데이비드 리드(David Reed)가 처음 제안한 개념이다.
리드의 법칙은 메트칼프의 법칙(Metcalfe's Law)과 무어의 법칙(Moore's Law)과 종종 비교되는데, 메트칼프의 법칙은 네트워크 가치가 사용자 수의 제곱에 비례한다고 보는 반면, 리드의 법칙은 그룹 형성 가능성을 강조하며 사용자 수의 2의 거듭제곱에 비례한다고 본다. 무어의 법칙은 반도체 집적회로의 성능이 2년마다 2배로 증가한다는 경험적인 법칙이다.
리드의 법칙은 네트워크의 잠재력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는 메트칼프의 법칙을 보완하기 위해 제시되었다. 특히 그룹, 클럽, 공동체와 같이 소규모 그룹 형성이 중요한 네트워크의 가치를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고 여겨진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온라인 커뮤니티, P2P 파일 공유 네트워크 등에서 리드의 법칙의 효과를 찾아볼 수 있다.
다만, 네트워크 가치에 대한 정확한 측정 방법은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실제 네트워크의 성장과 가치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리드의 법칙은 이론적인 모델로서 이해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