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각
합각은 한옥 건축 용어로서, 지붕의 용마루에서 내려온 추녀와, 그 아래 서까래가 이루는 삼각형 모양의 벽 부분을 가리킨다. 합각은 일반적으로 박공지붕의 측면에 나타나며, 지붕면과 벽면이 만나는 부분에서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막고, 건물의 내구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합각은 그 형태와 장식에 따라 건물의 특징을 드러내는 중요한 요소가 되기도 한다. 합각면에는 다양한 문양이나 그림을 그려 넣어 건물의 아름다움을 더하거나, 건물의 용도를 상징하는 표현을 담기도 한다. 특히 사찰 건축에서는 합각에 불교적인 상징물을 그려 넣어 신성한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한다.
합각의 종류는 재료나 형태, 장식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전통적인 한옥에서는 주로 흙이나 나무를 사용하여 합각을 만들었으며, 현대 건축에서는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여 합각을 디자인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