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26건

폐흡충

폐흡충은 폐에 기생하는 기생충의 일종으로, 주로 민물 게나 가재를 날것으로 섭취했을 때 감염될 수 있습니다.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의 폐에 기생하며, 기침, 흉통, 객혈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개요

폐흡충은 디스토마의 일종으로, 주로 동남아시아, 동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합니다. 폐흡충의 생활사는 복잡하며, 제1 중간 숙주인 다슬기, 제2 중간 숙주인 게나 가재를 거쳐 최종 숙주인 사람이나 동물의 폐에 도달합니다.

생활사

  1. 폐에 기생하는 성충은 알을 낳고, 알은 객담이나 대변을 통해 배출됩니다.
  2. 알은 물 속에서 부화하여 미라시디움이 됩니다.
  3. 미라시디움은 다슬기에 침입하여 스포로시스트, 레디아, 세르카리아 단계를 거칩니다.
  4. 세르카리아는 다슬기를 나와 게나 가재에 침입하여 메타세르카리아가 됩니다.
  5. 사람이나 동물이 메타세르카리아에 감염된 게나 가재를 날것으로 섭취하면, 소화기관을 통해 흡수된 후 횡격막을 뚫고 폐로 이동하여 성충이 됩니다.

증상

폐흡충 감염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침
  • 흉통
  • 객혈
  • 호흡곤란
  • 피로감

만성 감염의 경우, 폐에 낭종이 형성되거나 뇌에 침범하여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진단

폐흡충 감염은 객담, 대변, 뇌척수액 검사를 통해 충란을 확인하거나, 혈액 검사를 통해 항체를 검출하여 진단할 수 있습니다. 흉부 X선 촬영이나 CT 촬영을 통해 폐의 병변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치료

폐흡충 감염은 주로 프라지콴텔(Praziquantel)과 같은 구충제를 사용하여 치료합니다. 치료 효과는 비교적 높으며, 대부분의 환자는 완치될 수 있습니다.

예방

폐흡충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 사항에 유의해야 합니다.

  • 민물 게나 가재는 반드시 익혀서 섭취합니다.
  • 오염된 물을 마시지 않도록 합니다.
  • 개인위생을 철저히 합니다.
  • 유행 지역에서는 날 음식을 삼가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