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느러미
지느러미는 수생 동물이 물속에서 추진력, 방향 조절, 균형 유지 등을 위해 사용하는 신체 기관이다. 주로 어류에게서 볼 수 있으며, 고래와 같은 해양 포유류, 드물게는 일부 파충류에게서도 발견된다. 지느러미는 얇고 넓적한 막 형태로, 뼈나 연골 등의 지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피부로 덮여 있다.
기능:
- 추진력: 몸통이나 꼬리 근육의 움직임과 함께 지느러미를 사용하여 물을 밀어내어 앞으로 나아가는 추진력을 얻는다.
- 방향 조절: 가슴지느러미, 배지느러미 등을 사용하여 좌우 방향을 조절하고, 위아래 움직임도 가능하게 한다.
- 균형 유지: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몸의 균형을 잡고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 정지: 일부 어종은 지느러미를 펼쳐 저항을 증가시켜 정지하는 데 사용하기도 한다.
종류:
- 가슴지느러미: 몸통 양쪽에 위치하며, 방향 조절과 정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배지느러미: 몸통 아래쪽에 위치하며, 균형 유지와 함께 가슴지느러미와 협력하여 방향 조절에 관여한다.
- 등지느러미: 몸통 등쪽에 위치하며, 균형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러 개가 있는 경우도 있다.
- 뒷지느러미: 항문 뒤쪽에 위치하며, 등지느러미와 함께 몸의 안정성을 유지한다.
- 꼬리지느러미: 꼬리 끝에 위치하며, 추진력의 주요 원천이다. 형태는 종에 따라 다양하다.
진화:
지느러미는 척추동물의 진화 과정에서 팔다리로 진화한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육기어류의 지느러미는 양서류의 팔다리 구조와 유사성을 보여준다.
참고:
지느러미는 생물의 서식 환경과 생활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도록 진화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