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14건

성병

성병(性病,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 STI)은 성적 접촉을 통해 전파되는 감염 질환의 총칭이다. 성관계를 통해 전파되는 질환이라는 점에서 주로 성병으로 불리지만, 모든 성병이 성적 접촉을 통해서만 전파되는 것은 아니며, 수혈, 모자 간 수직 감염 등 다른 경로로도 감염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성적으로 전파되는 감염(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 STI)이라는 용어가 더욱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류:

성병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등 다양한 병원체에 의해 발생한다. 대표적인 성병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세균 감염: 매독, 임질, 클라미디아, 농피증
  • 바이러스 감염: 인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 헤르페스 감염, HIV 감염(후천성면역결핍증), B형 간염
  • 기생충 감염: 사면발이, 질트리코모나스증

각 질환은 증상, 진단 방법, 치료법이 다르며, 일부 질환은 치료가 가능하지만, 일부는 완치가 어렵거나 만성적인 상태로 이어질 수 있다.

전파 경로:

성병은 주로 성적 접촉을 통해 전파되지만,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경로를 통해 전파될 수 있다.

  • 질, 항문, 구강 성교: 가장 흔한 전파 경로이다.
  • 피부 접촉: 병변이 있는 피부와의 직접 접촉을 통해 전파될 수 있다.
  • 모자 간 수직 감염: 임신 중이나 출산 시 어머니로부터 태아나 신생아에게 감염될 수 있다.
  • 수혈: 오염된 혈액 수혈을 통해 감염될 수 있다.
  • 오염된 물건: 간접적으로 오염된 물건(예: 옷, 수건)을 통해 감염될 가능성은 낮지만,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예방:

성병 예방을 위해서는 안전한 성생활을 실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콘돔 사용, 다수의 파트너와의 성관계 지양, 정기적인 성병 검사 등이 예방에 도움이 된다. 파트너와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성병 감염 여부를 서로 확인하고, 감염 시에는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

성병의 치료는 감염된 병원체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등 다양한 약물이 사용되며,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를 받더라도 재감염의 위험이 있으므로, 안전한 성생활을 지속적으로 실천해야 한다.

합병증:

일부 성병은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불임, 자궁외 임신, 골반염, 심혈관 질환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임신 중 성병 감염은 태아에게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임신 계획 중이거나 임신 중이라면 정기적인 검진을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