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면
노면이란 차량이나 사람이 통행할 수 있도록 땅 위에 만들어 놓은 표면을 의미한다. 도로, 보도, 활주로 등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사용 목적과 환경에 따라 재료, 구조, 시공 방식이 달라진다.
역할 및 기능
- 하중 지지: 차량이나 사람의 무게를 안전하게 지지하여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 쾌적한 주행 환경 제공: 평탄하고 미끄럼 저항이 높은 표면을 제공하여 안전하고 쾌적한 주행 환경을 조성한다.
- 배수: 빗물 등을 신속하게 배수하여 수막 현상 등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확보한다.
- 내구성 유지: 기후 변화, 교통량 증가 등의 외부 요인에 대한 저항성을 갖추어 장기간 사용 가능해야 한다.
구성 요소
노면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층으로 구성된다.
- 표층 (Surface Course): 차량의 직접적인 하중을 받으며, 미끄럼 저항, 평탄성, 내구성 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멘트 콘크리트 등이 주로 사용된다.
- 기층 (Base Course): 표층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배수 기능을 담당한다. 쇄석, 자갈 등이 주로 사용된다.
- 보조기층 (Subbase Course): 기층을 지지하고, 지반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모래, 흙 등이 주로 사용된다.
- 노상 (Subgrade): 노면의 최하층으로, 자연 상태의 흙으로 구성된다.
종류
노면은 사용 재료에 따라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아스팔트 노면: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주 재료로 사용한 노면. 시공이 간편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 콘크리트 노면: 시멘트 콘크리트를 주 재료로 사용한 노면. 내구성이 뛰어나고 유지 보수 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다.
- 흙 노면: 흙을 다져서 만든 노면. 주로 농로나 임도 등에서 사용된다.
- 블록 노면: 콘크리트 블록, 보도블록 등을 사용하여 만든 노면. 보도, 광장 등에서 주로 사용된다.
관련 용어
- 포장: 노면을 만드는 행위 또는 노면 자체를 의미한다.
- 덧씌우기: 기존 노면 위에 새로운 표층을 덮어씌워 노면의 기능을 개선하는 공법.
- 균열: 노면에 발생하는 갈라짐 현상.
- 소성 변형: 하중으로 인해 노면이 영구적으로 변형되는 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