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수
폐수는 인간의 활동 결과 발생하여 더 이상 사용 가치를 상실한 물 또는 오염된 물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가정, 산업, 농업, 상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배출되는 물이 폐수에 해당하며, 오염 물질의 종류와 농도는 배출원의 특성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폐수의 종류
폐수는 발생 원인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 생활 하수: 가정에서 배출되는 오수, 잡배수 등을 포함한다. 주로 유기물, 세제, 음식물 찌꺼기 등으로 오염되어 있다.
- 산업 폐수: 공장에서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수로, 중금속, 유해 화학 물질, 기름, 산/알칼리 등 다양한 오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 농업 폐수: 농작물 재배 과정에서 사용되는 비료, 농약 등이 섞인 물이다. 질소, 인 등 영양 염류가 과다하게 포함되어 수질 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 축산 폐수: 가축 사육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뇨 등이 섞인 물이다. 높은 농도의 유기물과 질소, 인을 함유하고 있어 심각한 수질 오염을 일으킬 수 있다.
폐수의 영향
폐수는 적절하게 처리되지 않고 환경으로 배출될 경우 다음과 같은 심각한 환경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 수질 오염: 하천, 호수, 해양 등의 수질을 악화시켜 생태계를 파괴하고, 식수원으로의 사용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 토양 오염: 토양에 스며들어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변화시키고, 농작물의 생육을 저해한다.
- 대기 오염: 폐수 처리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거나, 유해 가스가 배출되어 대기 질을 악화시킨다.
- 인체 건강 위협: 오염된 물을 섭취하거나, 오염된 환경에 노출될 경우 각종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폐수 처리
폐수 처리란 폐수에 포함된 오염 물질을 제거하거나 무해화하는 과정이다. 폐수 처리 방법은 폐수의 종류와 오염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
- 물리적 처리: 침전, 여과 등을 통해 비교적 큰 입자성 물질을 제거한다.
- 화학적 처리: 응집, 중화, 산화/환원 등을 통해 용존성 오염 물질을 제거하거나 성질을 변화시킨다.
- 생물학적 처리: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하는 방법으로, 활성 슬러지법, 생물막법 등이 있다.
- 고도 처리: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처리 후에도 남아있는 미량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 막 분리, 흡착, 오존 처리 등이 있다.
관련 법규
폐수 배출은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등 관련 법규에 의해 엄격하게 규제되고 있다. 폐수를 배출하는 사업장은 폐수 배출 허가를 받아야 하며, 배출 허용 기준을 준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