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경
만화경(萬華鏡)은 빛을 이용하여 다채로운 무늬를 만들어내는 시각 도구이다. 여러 개의 거울(주로 3개)을 통의 내부에 비스듬히 설치하고, 그 사이에 색색의 유리 조각이나 구슬 등을 넣어 통을 회전시키면 거울에 반사된 상들이 다양한 대칭 무늬를 형성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만화경은 1816년 스코틀랜드의 과학자 데이비드 브루스터(David Brewster)가 발명하였다. 그는 빛의 편광 현상을 연구하던 중 우연히 이 장치를 고안해냈으며, 이후 특허를 받아 대량 생산 및 판매되었다. 만화경은 발표 직후 유럽 전역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으며, 장난감, 장식품, 교육용 도구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다.
만화경의 핵심 원리는 거울의 반사 작용이다. 일반적으로 3개의 거울을 정삼각형 형태로 배치하며, 이 각도에 따라 만들어지는 무늬의 대칭성이 결정된다. 거울의 각도가 45도일 경우 8개의 상이, 60도일 경우 6개의 상이 나타나는 방식이다.
만화경은 단순한 장난감을 넘어 예술적인 영감을 주는 도구로도 활용된다. 복잡하고 아름다운 무늬는 예술가들에게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공하며, 만화경의 원리를 응용한 예술 작품도 존재한다. 현대에는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여 더욱 다채롭고 역동적인 무늬를 구현하는 만화경도 개발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