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497건

산사태

산사태는 비, 눈, 지진 등의 자연적 요인이나 인위적인 활동으로 인해 산지나 경사면의 흙, 바위, 나무 등이 중력의 힘에 의해 갑작스럽게 붕괴되어 아래쪽으로 쏟아져 내리는 현상이다. 넓은 의미로는 땅이나 토석이 이동하는 모든 현상을 포함하며, 좁은 의미로는 급경사면에서 일어나는 토석류, 붕괴 등을 지칭한다.

산사태는 주로 집중 호우, 장마, 태풍 등으로 인해 지반이 약해진 상태에서 발생하기 쉽다. 또한, 산림 파괴, 무분별한 개발, 채석 등의 인위적인 활동도 산사태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 된다.

산사태는 인명 피해는 물론, 가옥, 도로, 농경지 등 재산 피해를 야기할 수 있으며, 산림 생태계를 파괴하고 토양 유실을 심화시키는 등 심각한 환경 문제를 초래한다.

산사태의 종류:

  • 토석류: 물을 많이 포함한 흙과 모래, 자갈, 바위 등이 급경사를 따라 빠르게 흘러내리는 현상이다.
  • 산지 사면 붕괴: 암반이나 토사가 급경사면에서 갑자기 무너져 내리는 현상이다.
  • 얕은 토층 붕괴: 얇은 표토층이 포화되어 미끄러지듯 붕괴하는 현상이다.
  • 심층 파괴: 지하수위 변화 등으로 인해 깊은 곳의 토층이 파괴되어 발생하는 현상이다.

산사태 예방 및 대처:

산사태 발생 위험 지역에서는 사전 대비가 중요하다. 기상 특보를 주시하고, 산사태 징후(경사면 균열, 땅울림, 나무 쓰러짐 등)를 발견하면 즉시 대피해야 한다. 또한, 산림 보호, 사방댐 설치, 배수 시설 정비 등 산사태 예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