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글러브
야구 글러브는 야구 경기 중 수비수가 공을 잡을 때 손을 보호하고, 더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공을 잡을 수 있도록 고안된 장비이다. 가죽 또는 이와 유사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손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는 형태를 가진다.
역사
야구 글러브의 초기 형태는 손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간단한 패드 형태였다. 19세기 후반에 본격적으로 글러브가 개발되기 시작했으며, 포지션별로 특화된 형태와 기능을 갖춘 글러브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초창기 글러브는 손가락 전체를 덮지 않는 형태였으나, 점차 손가락을 보호하는 형태, 더 나아가 손가락 마다 독립된 공간을 갖는 형태로 발전했다.
구조 및 종류
야구 글러브는 크게 다음과 같은 부분으로 구성된다.
- 포구면 (Palm/Pocket): 공을 잡는 면으로, 글러브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깊이와 형태는 포지션에 따라 다르다.
- 웹 (Web): 포구면과 손가락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공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돕는다. 웹의 종류는 다양하며, 투수, 내야수, 외야수 등 포지션에 따라 선호하는 웹 형태가 다르다.
- 손가락 부분 (Fingers): 손가락을 보호하는 부분이다. 손가락 마다 독립된 공간을 갖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 끈피 (Lacing): 글러브의 각 부분을 연결하고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 손목 스트랩 (Wrist Strap): 글러브를 손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글러브는 포지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 투수 글러브: 공의 구종을 숨기기 쉽도록 웹 부분이 막혀 있는 경우가 많으며, 색상 제한이 있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 검정색 또는 회색 계열).
- 포수 미트 (Catcher's Mitt): 공을 많이 받아야 하므로 일반 글러브보다 훨씬 두껍고 패딩이 강화되어 있다.
- 1루 미트 (First Baseman's Mitt): 1루에서 송구를 받아야 하므로 포구면이 넓고 깊다.
- 내야수 글러브: 빠른 송구를 위해 포구면이 얕고, 가벼운 것이 특징이다.
- 외야수 글러브: 넓은 범위를 커버해야 하므로 포구면이 깊고, 긴 것이 특징이다.
재질
야구 글러브는 주로 소가죽으로 만들어지지만, 돼지가죽, 합성피혁 등 다양한 재질이 사용된다. 가죽의 품질은 글러브의 내구성, 착용감, 가격 등에 영향을 미친다.
관리
야구 글러브는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사용 후에는 흙이나 먼지를 털어내고, 가죽 보호제를 발라주는 것이 좋다. 또한, 글러브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보관 시에는 글러브 형태 유지용 볼 등을 넣어두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