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314건

제5전구군지역사령부

제5전구군지역사령부(第五戰區軍地區司令部)는 대한민국 국군에서 과거 존재했던 지역 방위 사령부이다. 특정 지역의 향토 방위와 예비군 관리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

개요

1980년대 초반, 대한민국 국군은 전시 동원 체계 효율성을 높이고 향토 방위 전력을 강화하기 위해 전국을 여러 개의 전구군 지역으로 나누어 지역 사령부를 창설했다. 제5전구군지역사령부는 그 중 하나였으며, 특정 도(道) 또는 광역시(廣域市)를 관할하며 해당 지역의 방위 및 예비군 관리 임무를 수행했다.

주요 임무

  • 향토 방위: 관할 지역 내의 적 침투 및 국지도발 상황 발생 시, 초기 대응 및 방어 작전 수행
  • 예비군 관리: 예비군 자원 관리, 훈련 소집 및 실시, 전시 동원 준비
  • 대민 지원: 재해 발생 시 구조 및 복구 지원, 지역 사회 봉사 활동
  • 군사 시설 보호: 관할 지역 내의 주요 군사 시설 방호

편성

전구군지역사령부의 편성은 지역 특성과 임무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부서들을 포함했다.

  • 사령부 본부: 사령관, 참모, 행정 부서
  • 작전처: 작전 계획 수립 및 시행, 훈련 감독
  • 동원처: 예비군 자원 관리, 동원 준비
  • 인사처: 인사 관리, 교육 훈련
  • 군수처: 군수 지원, 장비 관리
  • 공병대대: 시설 유지 보수, 방호 시설 구축

역사

제5전구군지역사령부를 포함한 전구군지역사령부는 1980년대 초반에 창설되어 2000년대 초반까지 존속했다. 이후 국방개혁의 일환으로 전구군지역사령부 체제가 해체되고, 해당 임무는 지역 군단 또는 사단으로 이관되었다. 구체적인 해체 시점과 관련 기록은 보안 사항으로 분류되어 자세한 정보는 공개되지 않고 있다.

참고 문헌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 대한민국 육군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