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514건

평민

평민은 역사적으로 특정 사회 계층에서 귀족, 성직자, 왕족 등 특권 계층에 속하지 않는 일반 사람들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사회 경제적 지위, 직업, 거주 지역 등 다양한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시대와 사회에 따라 그 의미와 범위가 달라진다.

역사적 맥락

고대 사회부터 중세 시대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사회는 신분 제도를 기반으로 운영되었으며, 평민은 사회 구성원의 대다수를 차지했다. 이들은 주로 농업, 수공업, 상업 등 경제 활동에 종사했으며, 정치적 권력이나 사회적 특권으로부터 배제되는 경우가 많았다.

  • 고대: 고대 로마의 평민(Plebs)은 귀족(Patricians)과 대립하며 정치적 권리를 획득하기 위해 노력했다.
  • 중세: 중세 유럽에서는 농노, 자유민, 도시 시민 등이 평민에 속했으며, 봉건 영주의 지배를 받았다.
  • 근대: 근대 사회로 접어들면서 시민 혁명과 산업 혁명을 거치며 신분 제도가 약화되고, 평민의 사회적 지위가 향상되었다.

현대적 의미

현대 사회에서는 신분 제도가 공식적으로 폐지되었지만, 사회 경제적 불평등은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평민이라는 용어는 과거의 신분 제도적 의미보다는 일반 대중 또는 사회 경제적으로 중간 이하 계층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특정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추지 못한 일반인을 비하하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관련된 개념

  • 귀족: 평민과 대비되는 특권 계층
  • 시민: 근대 사회에서 정치적 권리를 가진 평민 계층
  • 프롤레타리아: 자본주의 사회에서 생산 수단을 소유하지 못한 노동자 계급
  • 계급: 사회 경제적 지위에 따라 구분되는 사회 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