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151건

턱관절

턱관절(Temporomandibular joint, TMJ)은 머리뼈의 측두골과 아래턱뼈인 하악골을 연결하는 관절이다. 인체에서 유일하게 양쪽에 존재하는 관절로서, 입을 벌리고 다물거나 음식을 씹는 저작운동, 말하기 등 다양한 턱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구조

턱관절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 하악과두: 하악골의 상단에 위치한 둥근 모양의 뼈이다.
  • 관절와: 측두골의 하단에 위치한 오목한 부분으로, 하악과두가 이 안에서 움직인다.
  • 관절원판 (디스크): 하악과두와 관절와 사이에 위치한 섬유연골 조직으로, 관절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 외에도 턱관절을 지지하고 움직임을 조절하는 다양한 인대와 근육들이 존재한다.

기능

턱관절은 다음과 같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 저작운동: 음식을 씹는 데 필요한 하악골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 개폐구운동: 입을 벌리고 다물 때 하악골이 움직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 측방운동 및 전방운동: 턱을 좌우 또는 앞으로 움직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 발음: 말할 때 필요한 하악골의 움직임을 조절하여 정확한 발음을 돕는다.

관련 질환

턱관절에 문제가 생기면 턱관절 장애(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TMD)가 발생할 수 있다. 턱관절 장애는 턱, 얼굴, 머리, 목 등에 통증을 유발하며, 입을 벌리기 어렵거나 턱에서 소리가 나는 등의 증상을 동반할 수 있다. 턱관절 장애의 원인은 다양하며, 이갈이, 외상, 스트레스, 부정교합 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참고 문헌

  • (관련 의학 교과서 또는 논문 인용 - 실제 존재하는 자료로 대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