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골
탈골(脫骨, Dislocation)은 뼈가 정상적인 위치에서 벗어난 상태를 의미한다. 관절을 이루는 뼈들이 서로 어긋나, 관절면의 정상적인 관계가 깨진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외상에 의해 발생하지만, 드물게는 선천적인 원인이나 질병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원인
- 외상: 직접적인 충격, 낙상, 스포츠 활동 중 부상 등
- 선천적 요인: 관절 형성 이상
- 질병: 관절염, 인대 이완증 등
증상
- 통증: 탈골된 부위에 심한 통증 발생
- 변형: 관절 모양의 변형
- 운동 제한: 관절 움직임 제한
- 부종: 탈골 부위의 부어오름
- 압통: 탈골 부위를 누를 때 통증
진단
- 신체 검사: 의사가 직접 관절 부위를 확인
- X선 검사: 뼈의 위치를 확인하고 골절 여부 확인
- CT 또는 MRI: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 실시
치료
- 정복: 어긋난 뼈를 정상적인 위치로 되돌리는 과정 (일반적으로 마취 후 진행)
- 고정: 정복 후 깁스나 보조기 등을 이용하여 관절을 고정
- 약물 치료: 통증 완화를 위한 진통제, 소염제 투여
- 물리 치료: 관절 운동 범위 회복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치료
- 수술: 인대 손상 등 다른 문제가 동반된 경우 고려
예방
- 운동 전 충분한 스트레칭
- 안전 장비 착용 (스포츠 활동 시)
- 낙상 예방 (미끄럼 방지, 적절한 조명 등)
합병증
- 인대 손상
- 신경 손상
- 혈관 손상
- 재발성 탈골
- 관절염
탈골은 즉시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며, 방치할 경우 만성적인 통증이나 기능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