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르노 모형
쿠르노 모형(Cournot Model)은 1838년 프랑스의 경제학자 앙투안 오귀스탱 쿠르노(Antoine Augustin Cournot)가 제시한 과점 시장의 균형을 설명하는 경제 모형이다. 이 모형은 동질적인 상품을 생산하는 소수의 기업이 존재하며, 각 기업은 경쟁 기업의 생산량을 고려하여 자신의 생산량을 결정하는 상황을 분석한다. 기업들은 동시에 생산량을 결정하며, 시장 가격은 전체 생산량에 의해 결정된다고 가정한다.
쿠르노 모형의 핵심 가정은 각 기업이 상대방 기업의 생산량을 주어진 것으로 간주하고 자신의 이윤을 극대화하는 생산량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각 기업은 자신의 반응 함수(reaction function)를 도출할 수 있다. 반응 함수는 상대방 기업의 생산량에 대한 최적의 자신의 생산량의 함수 관계를 나타낸다.
균형 상태는 모든 기업이 자신의 반응 함수 상에 존재하는 지점으로, 어떤 기업도 자신의 생산량을 변경할 유인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균형을 쿠르노 균형(Cournot equilibrium)이라고 부른다.
쿠르노 모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과점 시장: 소수의 기업만이 존재하여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동질적인 상품: 모든 기업이 생산하는 상품은 완전히 동일하다.
- 생산량 경쟁: 기업들은 가격이 아닌 생산량을 전략 변수로 사용한다.
- 동시 의사 결정: 각 기업은 동시에 생산량을 결정한다.
- 정보 부족: 기업들은 서로의 비용 구조에 대한 완전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가정한다.
쿠르노 모형은 과점 시장의 경쟁을 분석하는 데 유용한 도구이지만,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진다. 현실에서는 기업들이 생산량뿐만 아니라 가격, 광고 등 다양한 전략 변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업들이 순차적으로 의사 결정을 내리는 경우도 존재한다. 또한, 기업들이 서로에 대한 정보를 완벽하게 알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한계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과점 모형들이 개발되었다.
쿠르노 모형은 경제학, 경영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산업 조직론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