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문교부
대한민국 문교부(大韓民國 文敎部)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존재했던 중앙행정기관이다. 주로 교육, 문화, 체육 등에 관한 사무를 관장했으며, 현 교육부의 전신이다.
역사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설치되어 대한민국의 교육 정책 전반을 주관하는 역할을 시작했다. 시기별로 문화, 예술, 체육 관련 업무를 함께 관장하기도 했으나, 점차 교육 분야 중심으로 업무가 재편되었다. 문교부라는 명칭은 1990년 12월 27일 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라 교육부로 명칭이 변경되면서 사라졌다. 이후 교육 관련 부처는 교육인적자원부, 교육과학기술부 등으로 명칭이 변경되기도 했으나, 문교부는 교육부의 직접적인 전신으로 간주된다.
주요 업무 문교부가 존속했던 기간 동안 수행했던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다.
- 초·중등 교육 및 고등 교육 정책 수립 및 시행
- 교육 과정 개발 및 개편 (교과서 검정 등)
- 교원 양성 및 관리
- 학교 시설 및 예산 지원
- 학력 평가 및 입시 제도 운영 (예: 대학 입학 학력고사 등)
- 평생 교육 및 직업 교육 진흥
- 문화 예술 및 체육 정책 (초기 정부 수립 시기)
승계 문교부의 기능과 역할은 1990년 교육부로 명칭이 변경된 이후에도 교육 관련 부처로 이어졌다. 문화 및 체육 관련 업무는 별도의 중앙행정기관(예: 문화공보부, 문화체육부 등)으로 분리되어 나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