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축사

축사는 가축을 사육하기 위한 건축물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소, 돼지, 닭, 오리 등의 가축을 기르기 위해 지어지며, 가축의 종류와 사육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가진다.

목적 및 기능

축사는 가축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효율적인 사육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인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악천후 방지: 비, 눈, 바람, 강한 햇빛 등으로부터 가축을 보호한다.
  • 적정 온도 유지: 겨울철 추위와 여름철 더위로부터 가축을 보호하여 최적의 생육 환경을 제공한다.
  • 질병 예방: 외부로부터의 병원균 침입을 막고, 소독 및 방역을 용이하게 하여 질병 발생 위험을 줄인다.
  • 사육 관리 효율성 증대: 사료 급여, 분뇨 처리, 개체 관리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 가축 도난 방지: 외부인의 침입을 막아 가축 도난을 예방한다.

종류

축사는 사육하는 가축의 종류에 따라 우사(牛舍), 돈사(豚舍), 계사(鷄舍) 등으로 구분된다. 또한, 사육 방식에 따라 개방식 축사, 폐쇄식 축사, 무창 축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 우사: 소를 사육하는 축사. 한우, 젖소 등 소의 종류와 사육 목적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진다.
  • 돈사: 돼지를 사육하는 축사. 돼지의 성장 단계별로 다른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여러 개의 방으로 구성되기도 한다.
  • 계사: 닭을 사육하는 축사. 닭의 종류(육계, 산란계)와 사육 방식(평사, 케이지)에 따라 구조가 달라진다.

환경 문제 및 개선 노력

축사는 분뇨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 수질 오염, 온실가스 배출 등의 환경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축산 농가에서는 정화 시설 설치, 분뇨 자원화, 저탄소 사육 방식 도입 등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 축사를 통해 환경 관리를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