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심
청정심 (淸淨心)은 번뇌와 망상이 없이 깨끗하고 맑은 마음을 뜻하는 불교 용어이다. 본래 모든 인간은 청정한 마음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삶 속에서 다양한 경험과 욕망, 집착 등으로 인해 그 본성이 흐려진다고 본다. 따라서 불교 수행은 이러한 번뇌와 망상을 제거하고 본래의 청정한 마음을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개요
청정심은 불교의 핵심 가르침 중 하나인 '자성청정심(自性淸淨心)'과 깊은 관련이 있다. 자성청정심은 모든 존재의 본성이 본래부터 청정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곧 깨달음의 가능성이 모든 이에게 열려 있음을 시사한다.
특징
- 무애(無礙): 청정심은 어떤 것에도 걸림이 없는 자유로운 상태를 의미한다.
- 평등(平等): 청정심은 모든 존재를 차별 없이 평등하게 바라보는 마음이다.
- 지혜(智慧): 청정심은 사물을 있는 그대로 꿰뚫어 보는 지혜의 근원이다.
- 자비(慈悲): 청정심은 모든 존재에 대한 연민과 사랑을 실천하는 마음이다.
청정심을 얻는 방법
불교에서는 다양한 수행법을 통해 청정심을 얻을 수 있다고 가르친다. 대표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참선(參禪): 좌선을 통해 마음을 집중하고 번뇌를 다스리는 수행이다.
- 염불(念佛): 부처님의 명호를 외우며 마음을 정화하는 수행이다.
- 사경(寫經): 경전을 베껴 쓰면서 마음을 가다듬는 수행이다.
- 계율(戒律) 준수: 살생, 도둑질, 음행, 거짓말, 술 마시는 것을 금하는 오계를 비롯한 계율을 지키며 생활하는 것이다.
관련 용어
- 자성청정심(自性淸淨心)
- 번뇌(煩惱)
- 망상(妄想)
- 심성(心性)
- 깨달음(覺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