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종
재배종 (栽培種, Cultivar)은 인간의 선택에 의해 육성되고, 특정 형질이 고정되어 번식되는 식물의 품종을 의미합니다. 이는 자연 상태에서 진화한 종(species)과는 구별되며, 인위적인 교배, 돌연변이 유도, 조직 배양 등의 방법을 통해 만들어집니다. 재배종은 농업, 원예, 임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생산성 향상, 병충해 저항성 증진, 특정 용도에 적합한 형질 발현 등 인간의 필요에 따라 개발됩니다.
특징
- 인위적 육성: 자연적인 진화 과정이 아닌, 인간의 의도적인 선택과 육종 과정을 거쳐 만들어집니다.
- 고정된 형질: 특정 형질이 유전적으로 안정되어, 씨앗이나 꺾꽂이 등으로 번식해도 동일한 형질이 유지됩니다.
- 명확한 구분: 기존의 종(species)이나 다른 재배종과 구별되는 뚜렷한 특징을 가집니다. 예를 들어, 꽃의 색깔, 열매의 크기, 잎의 모양 등이 다를 수 있습니다.
- 명명 규칙: 국제원예학회(International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ISHS)의 국제재배식물명명규약(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for Cultivated Plants, ICNCP)에 따라 명명됩니다. 재배종명은 종명 뒤에 작은따옴표로 묶어 표시하거나, 'cv.'을 사용하여 표시합니다. (예: Malus domestica 'Fuji', Rosa cv. Peace)
육성 방법
- 교배 육종: 서로 다른 형질을 가진 개체 간의 교배를 통해 원하는 형질을 조합합니다.
- 돌연변이 육종: 방사선이나 화학 물질을 사용하여 돌연변이를 유발하고, 유용한 형질을 가진 개체를 선발합니다.
- 영양 번식: 꺾꽂이, 접목, 포기나누기 등 무성생식을 통해 특정 형질을 가진 개체를 대량으로 증식합니다.
- 조직 배양: 식물 세포나 조직을 인공 배양하여 새로운 개체를 생산합니다.
활용
재배종은 농작물, 과수, 화훼류, 채소류 등 다양한 식물에 존재하며, 식품 생산, 관상용, 약용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특히, 농업 분야에서는 생산량 증대, 품질 향상, 병충해 저항성 증진 등을 위해 지속적으로 새로운 재배종이 개발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