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9,320건

이앙법

이앙법은 벼농사에서 모를 길러 논에 옮겨 심는 농법을 말한다. 과거에는 직파법(볍씨를 논에 직접 뿌리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으나, 이앙법의 도입으로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널리 보급되었다. 이앙법은 크게 모를 기르는 육묘 과정과, 육묘된 모를 논에 옮겨 심는 이앙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특징

  • 생산성 향상: 이앙법은 직파법에 비해 잡초 방제가 용이하고, 생육 기간 조절이 가능하여 단위 면적당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 수자원 관리 효율성: 모내기 시기에 맞춰 물을 집중적으로 사용하고, 생육 기간 동안 물 관리를 용이하게 하여 수자원 이용 효율성을 높인다.
  • 노동력 집중: 이앙법은 육묘 및 이앙 시기에 노동력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과거에는 모내기철에 농촌 공동체를 중심으로 품앗이 노동이 이루어졌으나, 현대에는 이앙기 등 농기계의 발달로 노동력 부담이 감소되었다.
  • 병충해 관리 용이: 모를 건강하게 키워 옮겨 심기 때문에 초기 생육 단계에서 병충해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
  • 품종 개량 용이: 육묘 과정에서 우량 품종을 선별하여 재배할 수 있어 품종 개량에 유리하다.

역사

이앙법은 기원전부터 중국에서 시작되어 한반도에는 삼국시대에 전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시대에는 이앙법이 일부 지역에서 시행되었으나, 조선 시대에 들어서면서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특히 조선 후기에는 이앙법의 보급과 함께 수리 시설 확충, 품종 개량 등이 이루어지면서 벼농사의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현대의 이앙법

현대에는 이앙기의 사용이 일반화되어 모내기 작업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또한, 육묘 기술의 발달로 건강하고 튼튼한 모를 생산할 수 있게 되었으며, 다양한 품종 개발을 통해 지역별 특성에 맞는 벼농사가 가능해졌다. 최근에는 드론을 이용한 직파 기술도 연구되고 있지만, 여전히 이앙법은 한국 벼농사의 주된 방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