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점 감률
이슬점 감률은 대기압이 감소함에 따라 이슬점이 낮아지는 비율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이슬점은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데, 이는 대기압 감소에 따라 수증기 분압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개요
이슬점 감률은 실제 대기 상태에 따라 변화하며, 대기의 수증기 함량과 온도의 영향을 받는다. 건조 공기의 경우 이슬점 감률은 비교적 작고, 습한 공기의 경우 이슬점 감률은 더 커진다.
계산
이슬점 감률은 다음과 같은 근사식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 일반적으로 이슬점 감률은 건조 단열 감률(약 9.8 °C/km)과 습윤 단열 감률(약 5 °C/km) 사이에 위치한다.
중요성
이슬점 감률은 대기의 안정도를 평가하고 구름의 형성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슬점 감률이 건조 단열 감률보다 작으면 대기는 안정하며, 이슬점 감률이 건조 단열 감률보다 크면 대기는 불안정하다. 또한, 이슬점 감률은 구름의 밑면 높이를 추정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