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674건

유약

유약 (釉藥, glaze)은 도자기 표면에 입혀 굽는 얇은 유리질의 피막을 의미한다. 도자기의 강도를 높이고, 방수 기능을 제공하며, 아름다운 색상과 광택을 내는 역할을 한다.

개요

유약은 주로 규석, 장석, 석회석 등의 광물질을 분쇄하여 물과 혼합한 현탁액 상태로 만들어 도자기 표면에 바른 후, 고온에서 소성하여 녹여 만든다. 소성 과정에서 유약은 도자기 표면과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단단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피막을 형성한다. 유약의 성분과 소성 온도에 따라 다양한 색상, 광택, 질감을 표현할 수 있다.

주요 기능

  • 강도 증가: 유약은 도자기 표면을 보호하여 충격이나 마모로부터 도자기를 보호하고 강도를 높인다.
  • 방수 기능: 유약은 도자기 표면에 미세한 구멍을 막아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한다.
  • 미적 기능: 유약은 다양한 색상과 광택을 부여하여 도자기의 아름다움을 더한다. 표면 질감을 조절하여 촉각적인 매력을 더할 수도 있다.
  • 위생 기능: 유약은 도자기 표면을 매끄럽게 만들어 세척을 용이하게 하고 세균 번식을 억제한다.

종류

유약은 성분, 색상, 광택, 소성 온도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눌 수 있다.

  • 성분별 분류: 석회유, 장석유, 연유, 무연유 등
  • 색상별 분류: 청자유, 백자유, 분청유, 흑유, 채색유 등
  • 광택별 분류: 투명유, 불투명유, 반투명유, 무광유 등
  • 소성 온도별 분류: 저화도 유약, 중화도 유약, 고화도 유약 등

역사

유약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으며, 기원전 4000년경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처음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중국,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도자기 기술과 함께 발전해왔다. 각 지역의 고유한 문화와 기술이 반영된 다양한 유약 기법이 개발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참고 문헌

  • 도자사 관련 서적
  • 미술사 관련 서적
  • 국립중앙박물관 도자 관련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