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490건

역전사효소 억제제

역전사효소 억제제는 레트로바이러스, 특히 HIV와 같은 바이러스의 복제에 필수적인 효소인 역전사효소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 종류를 의미한다. 이러한 억제제는 바이러스 RNA를 DNA로 전환하는 과정을 방해하여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 내에서 복제되는 것을 막는다. 역전사효소 억제제는 일반적으로 HIV 감염 치료에 사용되는 항레트로바이러스 요법(ART)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역전사효소 억제제는 작용 기전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뉜다.

  • 뉴클레오사이드/뉴클레오타이드 역전사효소 억제제 (NRTI/NtRTI): 이들은 DNA 구성 요소인 뉴클레오사이드 또는 뉴클레오타이드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바이러스 역전사효소가 바이러스 RNA를 DNA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NRTI/NtRTI가 정상적인 뉴클레오사이드/뉴클레오타이드 대신 DNA 사슬에 삽입되면 DNA 사슬의 성장이 중단되어 바이러스 복제가 억제된다. 아바카비어, 테노포비르, 지도부딘 등이 이 유형에 속한다.

  • 비뉴클레오사이드 역전사효소 억제제 (NNRTI): 이들은 뉴클레오사이드/뉴클레오타이드와 구조적으로 유사하지 않지만, 역전사효소의 특정 부위에 결합하여 효소의 형태를 변화시키고 그 활성을 억제한다. 에파비렌즈, 네비라핀 등이 이 유형에 속한다.

역전사효소 억제제는 HIV 치료에 매우 효과적이지만, 내성 발현을 늦추기 위해 일반적으로 다른 종류의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과 함께 사용된다. 또한, 약물에 따라 다양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의료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