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907건

객토

객토 (客土)는 농경지의 지력(地力)을 증진시키기 위해 다른 곳의 흙을 가져와 덮어주는 농업 기술이다.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개선하여 작물 생육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 주로 척박한 토양이나 염류 집적, 산성화된 토양, 또는 연작으로 인해 지력이 저하된 토양에 적용된다.

목적 및 효과

  • 토양 개량: 객토는 토양의 입단 구조를 개선하고, 보수력과 통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유기물 함량을 늘려 토양의 비옥도를 높인다.
  • 병충해 예방: 오염된 토양을 새로운 흙으로 대체함으로써 토양 전염성 병해충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 작물 생육 촉진: 객토를 통해 작물에 필요한 양분을 공급하고, 뿌리 발달에 유리한 환경을 만들어 작물 생육을 촉진한다.
  • 수확량 증대: 객토는 작물의 품질과 수확량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

방법

객토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된다.

  1. 토양 분석: 객토 대상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한다.
  2. 객토 선정: 객토 대상 토양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흙을 선정한다. 일반적으로 비옥하고 오염되지 않은 흙을 사용한다.
  3. 객토 운반 및 살포: 선정된 흙을 객토 대상 농경지로 운반하여 고르게 살포한다.
  4. 토양 혼합: 살포된 흙과 기존 토양을 잘 혼합하여 토양 개량 효과를 높인다.
  5. 정지 작업: 토양 혼합 후, 작물 재배에 적합하도록 정지 작업을 실시한다.

주의사항

  • 객토에 사용되는 흙은 반드시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흙이어야 한다.
  • 객토 작업 시에는 기존 토양과 새로운 흙이 잘 혼합되도록 주의해야 한다.
  • 객토 후에는 토양의 안정화를 위해 충분한 관수와 관리가 필요하다.
  • 객토는 비용이 많이 들 수 있으므로, 토양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참고 문헌

  • 농촌진흥청. (2012). 표준영농교본-토양관리.
  • 한국토양비료학회. (2010). 토양학개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