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7,199건

근골격

근골격은 뼈, 근육, 관절, 인대, 힘줄과 같이 신체의 움직임과 지지, 보호에 관여하는 구조들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좁은 의미로는 뼈대계통(골격)과 근육계통을 합쳐 부르는 말이지만, 넓은 의미로는 이들의 연결 조직인 관절, 인대, 힘줄 등을 포함한다.

기능

근골격계는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을 수행한다.

  • 지지: 뼈대는 신체의 기본적인 구조를 형성하고, 체중을 지탱하며, 내부 장기를 보호한다.
  • 운동: 근육은 뼈에 부착되어 수축과 이완을 통해 관절을 움직여 신체의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 보호: 뼈는 뇌, 심장, 폐와 같은 중요한 장기를 둘러싸 보호한다. 예를 들어 두개골은 뇌를, 흉곽은 심장과 폐를 보호한다.
  • 혈액 생성: 골수에서는 혈액 세포가 생성된다.
  • 무기질 저장: 뼈는 칼슘, 인과 같은 무기질을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혈액으로 방출하여 혈액 내 무기질 농도를 조절한다.

구성 요소

근골격계는 다음과 같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

  • 뼈 (Bone): 신체의 뼈대를 형성하며, 칼슘과 인산염으로 구성된 단단한 조직이다.
  • 근육 (Muscle): 수축과 이완을 통해 뼈를 움직여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조직이다. 골격근, 평활근, 심장근으로 나뉜다. 여기서 근골격계는 주로 골격근과 관련된다.
  • 관절 (Joint): 뼈와 뼈가 연결되는 부위로,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 인대 (Ligament): 뼈와 뼈를 연결하여 관절을 안정화시키는 섬유성 결합 조직이다.
  • 힘줄 (Tendon): 근육과 뼈를 연결하여 근육의 힘을 뼈에 전달하는 섬유성 결합 조직이다.
  • 연골 (Cartilage): 뼈의 끝부분을 덮어 관절의 마찰을 줄여주는 탄력적인 조직이다.

관련 질환

근골격계는 다양한 질환에 취약하며, 다음과 같은 질환들이 흔히 발생한다.

  • 골절 (Fracture): 뼈가 부러지는 손상이다.
  • 관절염 (Arthritis): 관절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 근육통 (Myalgia): 근육에 통증이 발생하는 증상이다.
  • 인대 손상 (Ligament injury): 인대가 찢어지거나 늘어나는 손상이다.
  • 척추 질환 (Spinal disorders): 척추측만증, 허리 디스크 등이 있다.
  • 골다공증 (Osteoporosis): 뼈의 강도가 약해져 골절 위험이 증가하는 질환이다.

예방 및 관리

건강한 근골격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 균형 잡힌 식단, 적절한 체중 유지 등이 중요하다. 칼슘과 비타민 D를 충분히 섭취하고, 흡연과 과도한 음주를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잘못된 자세를 교정하고, 무거운 물건을 들 때는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