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도
편도는 인두의 양쪽에 위치한, 림프 조직으로 이루어진 장기이다. 구강과 인두 사이에 위치하며, 호흡기와 소화기 계통의 교차점에 자리 잡고 있다. 편도는 면역 체계의 일부로서, 외부에서 침입하는 병원균(세균, 바이러스 등)에 대한 첫 번째 방어선 역할을 한다. 편도의 표면에는 림프구가 풍부한 림프소절들이 존재하며, 이들은 항원을 인식하고 면역 반응을 유발하여 감염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한다.
편도에는 크게 세 가지 종류가 있다. 구개편도 (혀 뒤쪽 양 옆에 위치), 설편도 (혀 뿌리에 위치), 인두편도 (비강 뒤쪽 상부에 위치) 등이 있으며, 이 중 구개편도가 가장 크고 흔히 '편도'라고 부르는 부분이다. 아데노이드는 인두편도의 또 다른 이름으로, 어린아이들에게서 더욱 발달되어 있다.
편도는 감염에 취약하며, 염증이 발생하면 편도염이라고 한다. 급성 편도염은 주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세균 감염에 의한 경우도 있다. 만성 편도염은 반복적인 감염으로 인해 편도가 비대해지고 만성적인 염증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를 말한다. 심한 편도염이나 반복적인 감염의 경우, 편도선 절제술이 고려될 수 있다. 하지만 편도는 면역 체계의 일부이기 때문에, 절제술은 신중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편도의 크기와 기능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으며, 나이가 들면서 점차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편도의 비대는 호흡 곤란이나 수면 무호흡증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