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실업률

실업률은 경제 활동 인구 중 실업자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는 특정 시점에서 노동 시장의 건전성을 파악하고 경제 상황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의

실업률은 경제 활동 인구 대비 실업자 수의 비율로 계산된다. 여기서 경제 활동 인구는 만 15세 이상 인구 중 노동 능력이 있고 노동 의사가 있는 사람을 의미하며, 취업자와 실업자를 포함한다. 실업자는 경제 활동 인구 중 일자리가 없지만, 적극적으로 구직 활동을 하고 있으며, 즉시 취업이 가능한 사람을 말한다.

계산 방법

실업률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된다.

실업률 = (실업자 수 / 경제 활동 인구) x 100

실업률의 의미와 영향

실업률은 경제의 전반적인 상황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이다. 높은 실업률은 경제 활동의 위축, 소비 감소, 기업 투자 감소 등 다양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반대로 낮은 실업률은 경제 활성화와 고용 안정성을 의미하지만, 과도하게 낮은 실업률은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일 수 있다.

실업률의 종류

  • 공식 실업률: 정부 기관에서 발표하는 공식적인 실업률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 체감 실업률: 공식 실업률에 포함되지 않는 불완전 고용, 잠재적 구직자 등을 포함하여 실제 체감되는 실업률을 나타낸다.

실업률 관련 정책

정부는 실업률을 낮추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한다. 여기에는 고용 창출을 위한 투자 확대, 직업 훈련 프로그램 운영, 실업 급여 지급 등이 포함된다.

주의점

실업률은 경제 상황을 판단하는 데 유용한 지표이지만, 한 가지 지표만으로 전체적인 상황을 판단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실업률 외에도 고용률, 경제 성장률 등 다른 지표들과 함께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