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4,403건

악성도

악성도 (惡性度, grade of malignancy)는 주로 의학 분야에서 질병, 특히 종양이나 감염 등이 얼마나 해롭거나 진행 속도가 빠른지를 나타내는 정도를 의미한다. 종양의 악성도는 암세포의 형태학적 특징, 성장 속도, 주변 조직으로의 침윤(invasion) 능력, 전이(metastasis)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결정된다.

개요:

악성도는 종양의 생물학적 행동 특성을 예측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병리학적 검사를 통해 현미경으로 세포와 조직의 형태를 관찰하여 평가하는 경우가 많다. 악성도가 높을수록 종양의 분화도가 낮고, 세포 분열 속도가 빠르며, 주변 조직을 파괴하고 혈관이나 림프관을 통해 다른 장기로 전이될 가능성이 높다. 반대로 악성도가 낮으면 비교적 양성 종양과 유사한 특징을 보이며, 진행 속도가 느리고 전이 가능성이 낮다.

평가 방법:

종양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악성도 분류 체계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유방암의 악성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느와요-리차드슨(Nottingham) 등급 시스템은 세관 형성(tubule formation), 핵의 다형성(nuclear pleomorphism), 유사분열 빈도(mitotic count) 세 가지 기준을 평가하여 등급을 매긴다. 다른 암종에서도 세포의 분화도, 유사분열 수, 괴사 유무 등을 기준으로 악성도를 평가한다.

의학적 중요성:

악성도는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고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악성도가 높은 종양은 공격적인 치료(예: 항암 화학요법, 방사선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며, 예후가 상대적으로 좋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악성도가 낮은 종양은 수술적 제거만으로도 충분하거나 비교적 덜 공격적인 치료를 선택할 수 있다.

악성도는 병기(stage)와 함께 종양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핵심 요소이다. 병기는 종양의 크기, 림프절 전이 유무, 원격 전이 유무 등을 기준으로 해부학적 확산 정도를 나타내는 반면, 악성도는 종양 세포 자체의 생물학적 공격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비유적 사용:

의학 외의 분야에서는 문제나 현상이 얼마나 심각하거나 해로운 정도를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악성도'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 바이러스나 악성 코드의 위험도를 나타낼 때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