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49,699건

화강

화강암 (花崗岩, Granite)은 지구 내부 깊은 곳에서 마그마가 서서히 식어 굳어진 심성암의 일종이다. 주로 석영, 장석, 운모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광물의 함량비에 따라 다양한 색깔과 무늬를 나타낸다. '화강(花崗)'이라는 이름은 마치 꽃무늬처럼 보이는 광물의 결정 모양에서 유래되었다.

특징

  • 조직: 등립상 결정질 조직을 가지며, 광물 입자들이 육안으로 식별될 정도로 크다.
  • 색깔: 주로 흰색, 회색, 분홍색을 띠며, 광물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검은색 반점을 가진 화강암도 존재한다.
  • 구성 광물: 석영 (Quartz), 사장석 (Plagioclase), 정장석 (Orthoclase), 흑운모 (Biotite), 백운모 (Muscovite) 등이 주요 구성 광물이다.
  • 화학 성분: 이산화규소 (SiO2) 함량이 높은 산성암에 속한다.
  • 물리적 성질: 매우 단단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풍화에 강하다.

생성 과정

지구 내부 깊은 곳에서 마그마가 서서히 식어 굳어지면서 생성된다. 마그마가 천천히 식는 과정에서 광물 입자들이 충분히 성장할 수 있는 시간이 주어지므로, 비교적 큰 결정 크기를 가진다.

용도

화강암은 단단하고 내구성이 뛰어나 건축, 조경, 토목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 건축: 건축물의 외벽, 바닥재, 기둥, 계단 등에 사용된다.
  • 조경: 조경석, 석축, 디딤돌 등으로 사용된다.
  • 토목: 도로 포장재, 교량, 댐 등에 사용된다.
  • 기타: 비석, 기념비, 조각품 등의 재료로도 사용된다.

산출지

화강암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며, 특히 한반도는 화강암 지대가 넓게 분포되어 있다. 한국에서는 경기도 포천, 전라북도 익산, 경상남도 거창 등에서 양질의 화강암이 생산된다.

관련 용어

  • 페그마타이트 (Pegmatite): 화강암과 유사한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결정 크기가 매우 큰 암석.
  • 반려암 (Gabbro): 화강암과 유사한 심성암이지만, 염기성 성분이 더 많음.
  • 유문암 (Rhyolite): 화강암과 화학 성분은 유사하지만, 화산암에 속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