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경막
횡경막 (橫隔膜, diaphragm)은 가슴과 배를 나누는 돔 모양의 넓고 얇은 근육성 막이다. 척추동물에서만 볼 수 있는 특징적인 구조로, 호흡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흉강과 복강의 경계를 이룬다.
구조
횡경막은 크게 근육 부분과 중심 힘줄 (tendinous center) 부분으로 나뉜다. 근육 부분은 척추, 늑골, 흉골에서 기시하여 중심 힘줄로 모여든다. 중심 힘줄은 얇고 질긴 결합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횡경막의 돔 모양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횡경막에는 대동맥, 식도, 하대정맥이 통과하는 세 개의 주요 구멍이 존재한다. 이 구멍들은 각각 대동맥열공, 식도열공, 대정맥공이라고 불리며, 혈관과 신경이 흉강과 복강을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기능
횡경막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호흡 운동이다. 숨을 들이쉴 때 횡경막이 수축하면서 아래로 내려가 흉강의 부피를 늘리고, 흉강 내 압력을 낮춘다. 이로 인해 폐가 팽창하고 공기가 폐 안으로 들어오게 된다. 반대로 숨을 내쉴 때 횡경막이 이완되면서 위로 올라가 흉강의 부피를 줄이고, 흉강 내 압력을 높여 공기가 폐에서 빠져나가도록 돕는다.
횡경막은 호흡 외에도 기침, 재채기, 구토, 배변, 분만 등과 같이 복압을 증가시켜야 하는 생리적 과정에도 관여한다. 복압의 증가는 복부 장기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임상적 중요성
횡경막은 여러 질환과 관련될 수 있다. 횡경막 탈장은 횡경막의 결손 부위를 통해 복부 장기가 흉강으로 이동하는 질환이며, 횡경막 마비는 횡경막을 지배하는 신경의 손상으로 인해 횡경막의 기능이 저하되는 상태이다. 또한, 딸꾹질은 횡경막의 갑작스러운 수축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이다. 횡경막의 이상은 호흡 곤란, 흉통, 복통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