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관파천
아관파천(俄館播遷)은 1896년(건양 1년) 2월 11일부터 1897년(건양 2년) 2월 20일까지 조선의 고종이 러시아 제국 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겨 1년여간 머무른 사건이다.
배경
1895년 을미사변으로 명성황후가 시해되고, 뒤이어 단발령이 내려지자 조선 사회는 극도로 혼란스러워졌다. 고종은 신변의 위협을 느껴 러시아 공사관에 도움을 요청하게 되었다. 당시 러시아는 조선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고, 고종의 요청을 받아들여 보호를 명목으로 공사관으로의 이동을 돕게 된다.
경과
1896년 2월 11일, 고종은 세자(훗날의 순종)와 함께 비밀리에 러시아 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겼다. 이범진, 이완용 등 친러파 인사들이 이 과정에 깊이 관여했다. 고종은 러시아 공사관에 머무르면서 친일 내각을 해산하고 친러파 인물들을 중용하는 등 정치적 변화를 주도했다. 김홍집, 정병하 등 을미사변에 연루되었던 친일 관료들은 처형되거나 실각했다.
영향
아관파천은 조선의 정치, 외교, 경제 등 모든 분야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다. 러시아의 영향력이 강화되면서 열강들의 이권 침탈이 더욱 심화되었고, 조선은 자주적인 외교를 펼치기 어려워졌다. 또한,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에 머무는 동안 반러 감정이 고조되면서 독립협회와 같은 민족주의 단체들이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고종은 1897년 2월 20일에 경운궁(현재의 덕수궁)으로 환궁하였고, 대한제국을 선포하며 황제에 즉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