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267건

결막염

결막염은 눈꺼풀 안쪽과 안구의 흰 부분을 덮고 있는 얇고 투명한 막인 결막에 발생하는 염증을 의미합니다.

개요

결막염은 매우 흔한 안과 질환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감염성, 알레르기성, 자극성 결막염이 대표적이며, 이 외에도 전신 질환, 눈물 부족, 눈꺼풀 이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전염성이 있는 결막염의 경우, 접촉을 통해 쉽게 전파될 수 있습니다.

원인

  • 감염: 세균, 바이러스, 진균(곰팡이) 등에 의한 감염이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세균성 결막염은 주로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균 등에 의해 발생하며, 바이러스성 결막염은 아데노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등이 원인입니다.
  • 알레르기: 꽃가루, 집먼지진드기, 동물의 털 등 특정 알레르겐에 대한 과민 반응으로 발생합니다. 계절성 알레르기 결막염이 대표적입니다.
  • 자극: 화학 물질, 담배 연기, 콘택트 렌즈, 먼지 등에 의한 자극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기타: 드물게는 전신 질환(류마티스 관절염, 쇼그렌 증후군 등)과 관련되어 발생하거나, 눈물 부족, 눈꺼풀 이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

결막염의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눈의 충혈
  • 눈물 과다
  • 눈곱
  • 눈의 가려움
  • 눈의 이물감
  • 눈부심
  • 눈꺼풀 부종

원인에 따라 증상의 정도와 특징이 다를 수 있습니다. 세균성 결막염은 누런 눈곱이 많이 생기는 특징이 있으며, 바이러스성 결막염은 맑은 눈물이 많이 나고,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합니다.

진단

대부분의 경우, 환자의 증상과 임상 양상을 통해 진단이 가능합니다. 필요한 경우, 눈곱이나 결막 상피 세포를 채취하여 세균 배양 검사, 바이러스 검사, 알레르기 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치료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릅니다.

  • 감염성 결막염: 세균성 결막염은 항생제 안약 또는 연고를 사용하며, 바이러스성 결막염은 대부분 자연적으로 치유되지만, 증상 완화를 위해 냉찜질이나 인공 눈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알레르기성 결막염: 항히스타민제 안약, 스테로이드 안약, 비만세포 안정제 안약 등을 사용하며, 알레르겐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자극성 결막염: 원인이 되는 자극 요인을 제거하고, 인공 눈물을 사용하여 눈을 보호합니다.

예방

결막염 예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

  • 손을 자주 깨끗하게 씻습니다.
  • 눈을 함부로 만지지 않습니다.
  • 수건, 베개 등 개인 용품을 다른 사람과 함께 사용하지 않습니다.
  • 콘택트 렌즈를 깨끗하게 관리하고, 올바른 방법으로 착용합니다.
  • 알레르기 유발 물질을 피합니다.
  • 눈에 자극적인 환경을 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