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369건

빈자일등

빈자일등은 주로 대한민국 사회에서 사용되는 신조어 또는 속어로서,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꿋꿋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을 칭찬하거나 응원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어원 및 의미

"빈자일등(貧者一燈)"은 가난한 사람의 등불 하나라는 뜻으로, 불교 경전인 《현우경(賢愚經)》에 나오는 '빈녀난타(貧女難陀)' 설화에서 유래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이 설화는 가난한 여인이 자신의 모든 것을 팔아 부처님께 등불을 바쳤는데, 그 정성이 지극하여 꺼지지 않았다는 내용이다.

여기서 '빈자(貧者)'는 가난한 사람을, '일등(一燈)'은 하나의 등불을 의미한다. 즉, 어려운 형편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노력하는 사람의 작은 행동이나 마음이 큰 가치를 지닌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용례

  •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학업에 매진하는 학생을 보며 "정말 빈자일등이네."라고 칭찬할 수 있다.
  • 힘든 상황 속에서도 봉사활동을 꾸준히 하는 사람에게 "빈자일등의 정신을 보여주는 분이시네요."라고 말할 수 있다.
  •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지 않고 긍정적으로 살아가는 사람에게 "진정한 빈자일등의 삶을 살고 계시는군요."라고 격려할 수 있다.

특징

빈자일등은 단순히 경제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는 것뿐만 아니라, 희망과 용기를 잃지 않고 긍정적인 마음으로 살아가는 태도를 강조하는 표현이다. 팍팍한 현실 속에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게 위로와 격려를 보내는 따뜻한 마음이 담겨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