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행자
보행자는 교통법규상 차도를 걷거나 횡단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넓은 의미로는 도로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사람을 지칭하며, 휠체어, 유모차, 보행 보조기구 등을 사용하는 사람도 포함될 수 있다.
정의 및 범위
보행자는 도로교통법에 따라 보호받아야 할 교통약자 중 하나로 분류된다. 보행자의 안전은 교통 정책 및 도로 설계의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 보행자는 인도, 횡단보도, 보행자 전용 도로 등 보행을 위해 마련된 공간을 이용할 권리가 있으며, 이러한 공간이 없는 경우 도로의 가장자리를 이용하여 통행할 수 있다.
보행자의 권리와 의무
보행자는 교통법규를 준수하며 안전하게 도로를 이용할 권리와 의무를 가진다. 예를 들어, 횡단보도를 이용할 때에는 보행 신호등을 확인하고, 무단횡단을 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야간에는 밝은 옷을 입거나 반사판을 부착하여 운전자에게 잘 보이도록 하는 것이 안전하다.
보행 환경
보행 환경은 보행자의 안전과 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한 물리적, 사회적 환경을 의미한다. 잘 조성된 보행 환경은 도시의 활력을 높이고, 건강 증진, 환경 보호 등 다양한 긍정적 효과를 가져온다. 보행 환경 개선을 위해 인도 확장, 횡단보도 설치, 보행자 우선 도로 지정 등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안전 문제
보행자 사고는 교통사고 사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특히, 노인 보행자 사고율이 높은 편이며, 새벽이나 야간 시간대에 사고 발생률이 높다. 보행자 사고 예방을 위해 운전자의 주의 의무 강화, 보행자 안전 교육, 교통 시설 개선 등이 필요하다.